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생겼는데, 정작 어디서 써야 할지 몰라 난감하셨죠?
다이소, 하나로마트, 배달앱까지… 되는 줄 알았는데 안 되는 곳도 많습니다. 이 글 하나로 ‘진짜 되는 곳’과 ‘주의할 점’을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대형마트 내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업종 5가지
음식점 / 푸드코트 매장
- 대형마트 내 입점한 분식, 덮밥, 한식, 카페 등
- 예: 푸드코트 내 가맹 중인 '김밥천국', '순두부 전문점' 등
- 단, 직영 운영 매장은 불가할 수 있음
안경점 / 렌즈샵
- 예: 이마트 내 입점한 '다비치안경', '글라스박스' 등
- 가맹점 등록 여부 확인 필요
미용실 / 헤어샵
- 대형마트 내 미용실 중 제로페이 또는 지역화폐 가맹 매장
- 사용 전 반드시 가맹점 여부 확인
휴대폰 판매점 (이동통신 매장)
- SK, KT, LG U+ 매장 중 일부 가맹점
- 통신사 직영점은 불가한 경우 많음
생활잡화 / 문구점 / 속옷·양말 매장
- 예: 마트 내 '핫트랙스', '양말전문점', '문구·팬시 전문 코너'
- 프랜차이즈가 아닌 개별 사업자 매장 중심으로 사용 가능
💡 주의사항
- 사용 여부는 지역화폐 앱 또는 마트 안내 데스크를 통해 확인
- 각 입점매장별 가맹 여부가 다르므로, 같은 브랜드라도 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QR 결제 또는 지역화폐 카드 결제만 가능한 곳도 있음
교통카드 – 대부분 불가
일반적인 교통카드(T-money, 캐시비 등)에는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 발급하는 ‘IC형 지역화폐 카드’에 교통기능이 탑재된 경우, 간접적으로 교통비에 사용하는 형태는 가능합니다.
택시 – 개인택시, 소비쿠폰 사용지역내
택시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지만, 조건이 있습니다. 개인택시 차량 면허등록증 상 차고지가 소비쿠폰 사용 지역에 해당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 거주자는 서울 차고지의 택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법인택시 택시를 소유한 법인 소재지가 해당 지역에 있고,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일 때만 사용 가능합니다.
법인 택시를 탈 때는 운전사에게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이소 – 전국 매장 중 일부만 가능
다이소는 전체 1,500개 매장 중 약 450개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부착된 매장에서만 가능하며, 직영점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현장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올리브영 – 거의 불가
전국 대부분 올리브영 매장은 직영이기 때문에 소비쿠폰 사용이 어렵습니다. 일부 가맹점에서 사용가능, 입구에 '소비쿠폰 사용 가능' 스티커가 부착된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배달의민족 – 만나서 결제
- 배달의민족 배달앱 자체에서는 소비쿠폰 결제 불가 하지만 ‘만나서 결제(현장 결제)’ 방식은 가능
- 소비자가 배달원에게 직접 결제할 수 있음
- 단, 해당 음식점이 지역화폐 가맹점일 경우에만 사용 가능
- 배달 오더 전 반드시 전화나 앱 내 가게 정보에서 가맹점 여부 확인 필수입니다.
쿠팡이츠 – 일반적으로 사용 불가
쿠팡이츠 역시 소비쿠폰 사용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일부 지자체 제휴 이벤트 시에만 제한적으로 연동된 바 있으나, 지금은 대부분 종료된 상태입니다. 현실적으로는 사용처에서 제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음식점 방문포장- 키오스크 불가
음식점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사용하려면 키오스크가 아닌 직원 결제 단말기에서만 결제 가능합니다.
키오스크에서는 지역화폐, 소비쿠폰, 종이쿠폰 등의 사용이 제한되므로 반드시 직접 결제 요청이 필요합니다.
결론: 사용 전 가맹 여부 꼭 확인하세요
소비쿠폰은 이름은 같아도 사용 범위가 다릅니다. 같은 브랜드라도 가맹점인지 직영점인지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달라지며, 사용 기한은 11월 31일까지입니다.
정부 24에서는 신청이 불가하며, 카드사·은행·지역화폐 앱을 통해 신청해야 하니 놓치지 않도록 꼭 확인하세요.